논문투고안내       논문작성양식       발행·투고규정       편집·심사규정       연구윤리규정



💾️ 논문작성양식 및 규정 파일 다운로드

💾️ 논문작성 템플릿 다운로드



제1조 원고의 작성 원칙 및 제출 기준


1. 원고 분량은 초록과 참고문헌을 제외하고 200자 원고지로 환산하여 120매까지를 원칙으로 하며, 150매가 넘는 원고는 반려한다. 원고 분량은 논문을 작성한 컴퓨터 문서작성기의 문서분량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도판은 15개 내외로 본문에 삽입하여 제출한다.

2. 국문초록은 180-200단어 혹은 900글자, 영문초록은 200단어 혹은 1200글자 이내로 작성한다.

3. 본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어의 경우에는 한글을 먼저 쓰고 괄호 안에 원어를 표기한다. 외국인명이나 지명 등은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 기준에 따라 한글로 표기한 후 괄호 속에 원어를 써준다.

4. 장, 절, 항의 표기는 I, 1, (1), 1) 의 순서로 매기고, 장의 첫 문장의 경우 문두에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5. 원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하여 하나의 파일(한글은 HWP, 영어는 MS-DOC)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5-1. 논문제목: 국문, 영문으로 작성한다.

5-2. 게재가 확정된 출판용 원고 제출 시 저자표기

① 저자명, 소속, 직위(국, 영문)를 다음 사항을 참고하여 명시한다.

표시 사항

성명 / 소속 / 직함

예시

성명 / 00 대학 / 교수
성명 / 00 미술관 / 학예연구원
성명 / 사진작가
성명 / 미술비평가

② 추후 소속과 직위 표기가 허위로 밝혀질 경우, 편집위원회의를 통해 게재 철회 및 제재를 결정한다.

5-3. 국문초록: 180-200단어 혹은 900글자

5-4. 영문초록: 200단어 혹은 1200글자

5-5. 주제어(Keywords): 5개의 주제어를 국문(영문) 형식으로 작성한다. 필요한 경우 ‘국문(영문, 해당원어)’으로 표기할 수 있다.

예) 주제어(Keywords): 인물사진(Portrait Photography)

5-6. 사사표기: 연구비 수혜 논문, 학위논문 또는 학술대회 발표 논문 중 하나에 해당될 경우 다음의 작성 방식을 따른다. 해당되는 경우, 논문 표제에 *를 달아 예1)-예4)와 같이 밝힌다.

예1) 재단연구비 수혜: 본 논문은 2023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

예2) 교내연구비 수혜: 본 논문은 2023년도 **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임.

예3) 학위논문: 본 논문은 홍길동, 「****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학교, 2023)을 수정, 보완한 연구임.

예4) 학술대회 발표: 본 논문은 홍길동, 「**** 연구」, 현대·예술·사진학회 2023년도 제1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를 수정, 보완한 연구임.

5-7. 논문의 구성은 다섯 장(V장까지 가능)을 넘지 않도록 한다. 예외의 경우, 편집위원회의 논의를 통해 결정한다.

5-8. 본문: 한글 및 영어로 작성하고, 그 외 외국어의 경우 편집위원회와 논의를 거쳐 게재 방식을 결정한다.

5-9. 도판

① 본문에서 도판이나 도표를 사용할 경우, 해당 도판이 언급되는 문장 끝에 도판 번호를 붙여준다.

예) 주장한 바 있다(도 1).

② 저작권 및 사용권을 확보하거나 저작권 소멸 여부를 확인한 도판을 제시할 경우 본문 안에 썸네일 크기로 삽입하고, 도판목록은 도판번호. 작가명, <작품제목>, 제작년도, 매체, 작품크기(세로 x 가로)cm, 소장처 혹은 이미지 출처. 순으로 작성한다. 원어명일 경우 한글(원어) 원칙을 준수한다. 원어 제목의 한글번역이 본래의 의미를 손상할 경우 번역하지 않는다.

예) 도 1. 만 레이, <로즈 셀라비, 마르셀 뒤샹 Rrose Sélavy, Marcel Duchamp>, 1933, gelatin silver print, 22.1 x 17.6cm, J. Paul Getty Museum, Los Angeles ©2013 Man Ray Trust/Artists Rights Society(ARS), NY/ADAGP, Paris.

③ 본문에서 작품을 언급했지만 도판을 게재하지 않을 경우, 각주 형태로 해당 이미지를 볼 수 있는 온라인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작가명, <작품제목>, 제작년도, 매체, 작품크기(세로 x 가로)cm, 소장처, 웹사이트 주소 (접속일자).

예) 파블로 피카소, <아비뇽의 처녀들 Les Demoiselles d'Avignon>, 1907, oil on canvas, 243.9 x 233.7cm, 뉴욕현대미술관,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79766?sov_referrer=theme&theme_id=5696 (2023년 2월 10일 접속).

④ 연작에 포함된 개별 작품을 도판으로 사용할 경우, 도판의 작품제목은 해당 작품의 제목만 적는다. 연작과 개별 작품의 제목이 동일한 경우, 도판의 제목은 <연작 제목>으로 한다.


5-10. 참고문헌: 본문 각주 정보와 동일한 문헌만을 모두 기재한다.

5-11. 저자소개 정보: 학술논문의 경우 게재가 확정된 출판용 원고 제출 시, 학회의 양식에 따라 교육경력(학력, 학위명, 학위 취득학교), 현재 소속, 최근 3년간의 주요 저서 및 연구 논문과 활동을 100단어 이내의 국문과 영문으로 각각 기술한다. 그밖에 제1저자, 교신저자가 있는 경우 순서대로 작성한다.

6. 학술논문 이외의 서평과 전시평 등의 분량은 A4 4매(200자 원고지 30매) 내외로 한다.

7. 인명이나 지명은 도판과 각주를 포함하여 처음 한 번만 ‘한글(원어)’로 표기하고 이후 한글로만 표기한다.

예) 신디 셔먼(Cindy Sherman)은… (이후부터)셔먼은…

8. 본문의 부호사용은 다음과 같다.

① 책으로 출판된 인쇄물, 신문, 잡지: 『 』

② 작품제목: < >

③ 전시회, 연작의 작품 제목: 《 》

④ 작가의 작품집 제목이 연작 제목과 같은 경우, 본문의 맥락에 따라 『 』, 혹은 《 》로 표기한다.

9. 인용문은 큰 따옴표(“ ”)로, 강조어구는 작은 따옴표(‘ ’)로 구분한다. 인용문의 길이가 4줄 이상인 경우 큰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본문과 분리하여 인용문단을 작성한다. 이 때 위, 아래 한 줄씩 띄우고, 왼쪽, 오른쪽 여백을 30으로 설정하고, 인용문은 9pt로 작성한다.

10. 인용문 사이의 말줄임표는 (···)를 사용한다. 인용문에 연구자의 삽입 글이 들어갈 경우 [ ]를 사용하고, 각주에 [ ]은 연구자가 첨가했음을 밝힌다.

예) 그와의[벤야민의] 거리를 깨닫게 한다. (···) 이 거리와 시차는 우리가 거의 매일 겪는 경험으로부터 규정된다고 볼 수 있다.

11. 이니셜 사이는 간격을 두지 않는다

예) W.J.T. Mitchell

12. 괄호는 밖에서 마침표를 찍는다.

예) 이 작품에 잘 나타난다(도 2).

13. 숫자 표기 방식

13-1. 본문에서 연도를 표기할 때에는 전체를 명기한다.

예) 2000-2002년, 1930-1940년대

13-2. 각주와 참고문헌의 페이지 표기는 전체 단위를 사용한다.

예) 201-203.

13-3. 숫자에 해당하는 접두사 '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고, 사람이나 작품, 사물의 수를 세는 단위에는 한글 서수를 사용한다.

예) 제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총 다섯 명이 참가한 전시

13-4. 전시기간의 경우 《전시명》(년도.월.일.~년도.월.일.)로 표기한다.

예1) 《1993 휘트니 비엔날레》(1993.4.10.~6.10.)

예2) 《올해의 작가상》(2022.10.20.~2023.3.26.)

14. 외국어를 한국어로 읽을 때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다.

예) 교토(O), 교또(X)
파리(O), 빠리(X)

15. 외국어를 한국어로 읽을 때, ㅈ, ㅊ, ㅉ 은 이중 모음(ㅕ, ㅑ, ㅛ, ㅠ, ㅒ, ㅖ)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예) 주스(O), 쥬스(X)
차트(O), 챠트(X)

16. 본문 작성시 외국어로 된 작가명, 문헌제목, 작품제목, 전시명은 한국어와 원어로 병기한다. 표기 방식은 다음 예시의 작성 양식을 따른다. 외국어 문헌제목과 작품제목은 이탤릭체로 기울여서 병기하고 괄호는 치지 않는다.

예1)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에크리 Écrits』에서…

예2) 《새로운 지형: 인간이 만든 풍경 사진 New Topographics: Photographs of a Man-Altered Landscape

예3) 프란체스카 우드만(Francesca Woodman)의 <무제 Untitled>

17. 본문 중 문장 내에서 큰 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를 이용한 인용문의 경우 따옴표 다음 쉼표나 마침표를 찍고, 문장 전체가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이용한 직접 인용문인 경우는 따옴표 안에 쉼표나 마침표를 찍는다.

예1) 화이트헤드는 언제나 "시간이 '영속적인 소멸'"임을 상기시킨다.

예2) "그것들은 여전히 존재들의 총체적 체계 안에서 자신의 실재성을 발휘하고 있다."


제2조 각주 표기


1. 본문의 논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문헌이나 자료를 제시할 때, 혹은 본문 내용과 관련이 있으나 저자의 논증에 필수적인 요소가 아닌 경우, 해당 페이지 하단에 ‘각주’를 달아준다.

2. 각주 정보기재 시 공통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출판 정보 괄호 앞에 한 칸 띄운다.

② 영문 논문제목 다음 쉼표(,)는 따옴표(”) 안에 둔다.

예) Rosalind Krauss, “Reinventing the Medium,” Critical Inquiry 25 (1999): 290.

③ 각주 내 참고자료가 둘 이상 나열되는 경우 문헌정보 사이에 세미콜론(;)을 둔다.

예) Rosalind Krauss, “Reinventing the Medium,” Critical Inquiry 25 (1999): 290; Krauss, “Notes on the Index: Seventies Art in America,” October 3(1977): 68.

④ 페이지 수가 표기되어 있지 않은 문헌인 경우, 페이지 없음으로 표기한다.

예) 김홍희, 「박영숙의 작품세계: 《미친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지원센터, 페이지 없음.

⑤ 앞의 각주에서 언급했던 책이나 논문을 다시 언급할 경우 이미 인용되었던 책이나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저자명 (영문의 경우 성), 부제를 삭제한 문헌 제목, 페이지 수만을 사용한다. 해당 각주 바로 앞 각주에서 인용한 동일 책이나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에만 ‘같은 책’ 혹은 ‘같은 글’로 한다.

예1) Baudrillard,Simulacra and Simulation, 6.

예2) 정현목, 「동시대 예술 사진에서 발견되는 바니타스 회화의 영향」, 397.

⑥ 바로 앞 각주에서 인용한 동일 책이나 논문을 다시 인용할 경우 ‘같은 책’ 혹은 ‘같은 글’로 한다. 외국서적의 경우도 동일하게 한다.

예) 같은 글, 218.

<문헌종류에 따른 각주 작성 양식>

1. 국내 저서 및 논문

1-1. 저서: 저자명, 『저서제목(겹꺽쇠)』 (출판사명, 출판연도), 페이지 수.

예) 이일, 『이일 미술비평일지』 (미진사, 1998), 204-209.

1-2. 학술논문: 저자명, 「논문제목(홀꺽쇠)」, 『학술지제목(겹꺽쇠)』 권호수 (출판년도): 페이지 수.

예) 이필, 「현대 예술사진의 변혁과 비평의 동시대성 문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44 (2016): 309-340.

2. 외국저서 및 논문

2-1. 저서: 저자명, 저서제목(이탤릭체) (출판도시: 출판사명, 출판년도), 페이지 수.

예) Michael Fried, Why Photography Matters as Art as Never Befor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8), 45.

2-2. 학술논문: 저자명, “논문제목(큰 따옴표),” 학술지제목(이탤릭체) 권호수 (출간월 년도): 페이지 수.

예1) Astrid Erll, “Regional Integration and (Trans)cultural Memory,” Asia Europe Journal 8:3 (November, 2010): 305–315.

예2) Nayun Jang, “The Mixed Names: The Birth of the Photo Essay in South Korea in the 1960s,” Journal of Taipei Fine Arts Museum 42 (December, 2021): 130.

3. 번역서

3-1. 한글 번역서: 저자명, 『저서제목(겹꺽쇠)』, 번역자명 옮김 (출판사명, 출판년도), 페이지 수.
* 번역자명 뒤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옮김’으로 한다.

예) 롤랑 바르트, 『카메라 루시다: 사진에 관한 노트』, 조광희·한정식 옮김 (열화당, 1998), 30.

3-2. 외국어 번역서: 저자명, 저서제목(이탤릭체), 번역자명 (출판도시: 출판사명, 출판년도), 페이지 수.

예) Susanne Lange, Bernd and Hilla Becher: Life and Work, trans. Jeremy Gaines (MA: The MIT Press, 2007), 39-41.

4. 편집된 책에 포함된 논문

4-1. 국내 편집서 논문: 저자명, 「논문제목(홑꺽쇠)」, 『저서제목(겹꺽쇠)』, 편집자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페이지 수.

예) 심혜련, 「예술의 새로운 사회적 기능: 발터 벤야민의 “예술의 정치화”를 중심으로」, 『발터 벤야민 : 모더니티와 도시』, 홍준기 엮음 (라움, 2010), 423. 

4-2. 외국 편집서 논문: 저자명, “논문제목(큰 따옴표),” 저서제목(이탤릭체), 편집자명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페이지 수. 편저자가 다수인 경우 첫 번째 편저자 다음에 et al.로 표기할 수 있다.

예1) Vito Acconci, “Notes on My Photographs, 1969-1970,” in The Last Picture Show: Artists Using Photography, 1960–1982, ed. Douglas Fogle (Minneapolis, Minnesota: Walter Art Center, 2003), 183.

예2) Lucy R. Lippard and John Chandler, “The Dematerialization of Art (1967)” in Conceptual Art: A Critical Anthology, eds. Alberto and Blake Stimson (Cambridge: The MIT Press, 1999), 49.

5. 잡지나 신문에 게재된 글

저자명, 기사제목(국문은 홀꺽쇠, 영문은 큰 따옴표), 잡지나 신문명(국문은 겹꺽쇠, 영문은 이탤릭체), 게재일자, 페이지 수.

예) 구나연, 「경계의 유형학: 김옥선의 사진에 관하여」, 『미술세계』, 2019년 6월호.

예) Hilton Kramer, “Photography as High Art,” New York Times, December 19, 1982, http://www.nytimes.com/1982/12/19/books/photography-as-high-art.html?pagewanted=1 (2012년 10월 31일 접속).

6. 학위 논문

저자명, 논문제목(국문은 홀꺽쇠, 영문은 큰 따옴표) (학위명, 대학, 연도), 페이지 수.

예) 임안나, 「메타픽션으로서의 연극 사진이 지닌 내러티브」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9), 150.

예) Phil Lee, “Art Photography and the Contentions of Contemporary Art: Rhetoric, Practice, and Reception”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3), 177.

7. 온라인 자료

온라인에서 접속한 논문이나 자료를 인용하거나 참고한 경우 저자명, 문헌제목, 발행연도를 포함하여 표기하며, 웹사이트 주소 (접속날짜)를 기재한다.

예1) Arthur Lubow, “The Luminist,” New York Times (February 25, 2007) 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res=F6061FF73E5A0C768EDDAB0894DF404482 (2012년 12월 20일 접속).

예2) 이원철, “Artist Statement: The Starlight 경주, 2006-2007,” 박건희 문화재단(날짜 미상) http://geonhi.com/korean/%EC%9D%B4%EC%9B%90%EC%B2%A0-the-starlight-%EA%B2%BD%EC%A3%BC-2006-2007/ (2023년 9월 21일 접속).

예3) www.oed.com (2012년 3월 31일 접속).

예4)  I. Goodfellow, J. Pouget-Abadie, M. Mirza, B. Xu, D. Warde-Farley, S. Ozair, A. Courville, and Y. Bengio, “Generative adversarial nets” (2014), arXiv:1406.2661, https://arxiv.org/abs/1406.2661.

8. 아카이브

각 아카이브나 기관(미술관, 도서관, 대학 등)에서 제시하는 방식대로 출처를 밝힌다. 별도의 안내가 없을 경우, 다음의 예를 참조하여 작성한다.

예1) Letter from Stieglitz to R. Child Bayley (April 17, 1916), Alfred Stieglitz Archive, Yale University.

예2)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http://www.sfmoma.org/about/research_projects/research_projects_photography_over (2011년 2월 28일 접속).

9. 간접인용

간접인용의 경우, 원저작과 2차 사료의 출전을 모두 최대한 정확하게 밝혀준다.

예) Denis Diderot, “Conversations on the Natural Son,” in Denis Diderot: Selected Writings on Art and Literature (New York: Penguin, 1994). Geoffrey Bremner, Order and Chance: The Pattern of Diderot’s Though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20에서 인용.


제3조 참고문헌 표기


1. 참고문헌은 본문의 각주에서 인용된 자료로 한정한다. 참고문헌은 국문문헌과 외국어문헌으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국문문헌의 경우 저자 성의 가나다순으로, 외국어문헌의 경우 저자 성의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저자가 없는 경우 국문문헌은 국문문헌의 끝에, 외국문헌의 경우 외국문헌의 끝에 표기한다. 참고문헌 작성 시 단행본, 전시도록, 논문은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2. 국문문헌은 저자명. 논문제목. 저서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순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영문문헌의 저자명은 성, 이름.의 순서로 표기하고, 출판정보는 도시명: 출판사, 출판연도. 순으로 제시한다. 출판정보는 괄호 없이 기재한다. 논문일 경우 출판년도 뒤에 전체 페이지수를 명시한다.

3. 참고문헌 정보기재 시 공통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각 정보(저자명, 저서제목, 출판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마지막에 마침표(.)를 사용한다.

② 영문 논문제목 다음 마침표는 따옴표 안에 둔다. [.”]

③ 한 정보의 둘째 줄 이하 들여쓰기 한다.

<문헌종류에 따른 참고문헌 작성양식>

1. 단행본

한・중・일 단행본의 경우에는 저자명. 『저서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서구 언어 단행본의 경우는 저자명. 저서제목. 도시명: 출판사, 출판연도 순으로 기재하고, 저서제목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최인진. 『한국사진사』. 눈빛, 1999.

예) Shore, Stephen. Stephen Shore: Uncommon Places: The Complete Works. New York: Aperture, 2004.

2. 편집한 서적

단행본과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되 편저자명 뒤에 편 또는 ed. 혹은 eds. (2인 이상인 경우)를 표기한다. 편저자가 다수인 경우 첫 편저자명 이후 et al. 로 표기할 수 있다.

예1) 김우룡 엮음.  『사진과 텍스트』. 눈빛, 2011.

예2) Bolton, Richard, ed. The Contest of Meaning. Cambridge: MIT Press, 1989.

예3) Costello, Diarmuid, and Margaret Iversen, eds. Photography after Conceptual Art. Malden, MA: Wiley-Blackwell, 2010.

예4) Kennedy, Jen., Trista Mallory and Angelique Szymanek, eds. Transnational Perspectives on Feminism and Art, 1960-1985. New York: Routledge, 2021.

3. 편집한 저서에 포함된 문헌

편집한 저서에 포함된 논문이나 개별 챕터를 표기할 경우에는 반드시 출판정보 앞에 쪽수를 명기한다.

예1) 이봉재. 「이미지와 환상: 사진 이미지의 인식론적 분석」. 『매체의 철학』. 김상환 외 공저, 237-261. 나남출판, 2005.

예2) Chevrier, Jean-François. “Between the Fine Arts and the Media (The German Example: Gerhard Richter).” In Photography and Painting in the Work of Gerhard Richter, 31-60. Barcelona: Consorci del Museu d'Art Contemporani de Barcelona, 2000.

4. 번역서

원저자명. 『번역서 제목』. 번역자명 옮김. 출판사, 출판연도.

예) 데이비드 베이트. 『사진의 주요 개념』. 김옥선, 안준, 이필, 임안나, 정현목 옮김. 열화당, 2024.

외국 서적의 경우 원저자명. 『번역서 제목』. Translated by 번역자명.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예) Barthes, Roland. Camera Lucida: Reflections on Photography. Translated by Richard Howard. New York: Hill and Wang, 1981.

5. 전시도록

전시도록의 경우에는 전시도록, Exhibition Catalogue라고 표기한다.

예1) 『히토슈타이얼 - 데이터의 바다』. 국립현대미술관, 2022. 전시도록.

예2) Abstraction in Photography. New York: MoMA, 1951. Exhibition Catalogue.

6. 연속간행물

6-1. 학술지 논문의 경우

예1) 이필. 「사진의 혼성적 공간: 프란체스카 우드만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진」. 『현대미술사연구』 35 (2014): 59-86.

예2) Jang, Nayun. “Memory as an Ever Present Past: Photographic Representations of US Military Presence in South Korea.” Oxford Art Journal 45:3 (December 2022): 1-30.

6-2. 잡지의 경우

예) 구본창, 김대수, 박주석 외. 「(특집기획) 한국 사진을 말한다: 기획토론-사진, 새 시좌 전 이후의 현대 사진의 10년」. 『사진비평』 (1988년 8월호): 20-46.

6-3. 신문 기사의 경우

예) 김동언. 「아토초 과학, ‘아직 가보지 못한 자연의 영역 속으로」. 『포항공대신문』. 2010년 05월 05일. http://times.postech.ac.kr/news/articleView.html?idxno=5039 (2023년 3월 10일 접속).

7. 학위논문

국문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제목」. 학위. 대학, 출판연도의 순으로 기재한다. 영문논문의 경우 저자명(성, 이름). “논문제목.” 학위. 대학, 출판연도의 순으로 기재한다.

예1) 김옥선. 「《Berlin Portraits》의 다큐멘터리 사진 미학 연구: 재독 한인 간호여성의 혼종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20.

예2) Jang, Nayun. “Art as Counter-Memory: Contemporary Lens-Based Art in East Asia.” Ph.D. dissertation. The Courtauld Institute of Art, 2019.

8. 웹사이트

특정 웹사이트를 인용한 경우에만 참고문헌에 기재하며, 저자명. 문헌제목. 발행연도를 포함하여 표기하며, 웹사이트 주소(접속날짜)를 표기한다.

예1) 이영준. 「일파만파로 퍼지는 윤정미의 색깔 논쟁: 블루 걸과 핑크 보이」. 금호미술관. 2017. https://http://www.jeongmeeyoon.com/texts_036.htm (2023년 1월 10일 접속).

예2) T.D. Neil, Jonathan. “Michael Fried: Why Photography Matters: An Interview with Michael Fried.” Art Review 15 (2007). http://www.artreview.com/profiles/blog/show?id=1474022%3ABlogPost%3A633 (2008년 12월 19일 접속).

예3) Brock, A., J. Donahue, and K. Simonyan. “Large Scale GAN Training for High Fidelity Natural Image Synthesis.” 2018. arXiv:1809.11096. https://arxiv.org/abs/1809.11096.

9. 참고문헌 목록에서 동일 저자의 여러 저술을 표기할 때는 연대순(오래된 문헌 먼저)으로 하여 저자명을 명기한다. 반복되는 동일 저자명은 ―――로 대체한다.

예) Snyder, Joel. “Picturing Vision.” Critical Inquiry 6 (1980): 499-526.
———. “Pointless.” In Photography Theory, edited by James Elkins, 369-400. New York: Routledge, 2006.